2025/04/10 2

[응용] DFS와 2차원 배열 내 영역의 최대 개수 구하기

1. 개요DFS 알고리즘을 적용한 문제 유형으로 2차원 배열에 포함된 특정 영역의 최대 개수를 구하는 문제가 많이 출제된다.아래 두 문제를 풀어보며 이러한 문제 유형에 대해 이해하게 되어, 그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이 글에서는 내가 이해한 개념을 자세하게 풀어서 정리하고, 관련 문제의 코드도 함께 살펴 볼 예정이다.  단, 이 글은 DFS 알고리즘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설명을 진행한다.만약 DFS 알고리즘의 개념이나 원리를 잘 모른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기를 추천한다.https://developer-zoyh.tistory.com/17 [알고리즘] DFS(Depth-First Search)와 BFS(Breadth-First Search)0. IntroductionDFS와 BFS를 별도 게시..

[백준][DFS] 섬의 개수

오늘의 학습 키워드DFS 오늘의 회고🌱 오늘의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4963배열의 크기(w, h)와 배열이 여러 번 반복하여 주어질 때, 그 배열에 포함된 섬의 개수를 세는 문제이다. [주의할 점]1.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시간 복잡도를 예측하기 어려움이 문제에서는 w, h의 입력이 0 0으로 주어질 때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너비와 높이인 w와 h가 50 이하의 정수이므로, 배열의 크기가 많이 크지는 않으나 테스트 케이스가 몇 개나 반복될 지 모른다는 점에서 시간 복잡도를 예측하기 어렵다.2. 상하좌우 + 대각선 이동 가능상하좌우 뿐만 아니라 대각선으로도 이동 가능하다. 출발점 기준으로 인접한 8개의 위치를 모두 고려해주어야 한다. 우선 간..

Daily/Coding Test 2025.04.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