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2

[자료구조] 스택(stack)과 큐(queue)

🌱 스택 (Stack)1. 기본 개념스택은 기본적으로 LIFO(Last In First Out), 혹은 선입후출 구조라고 한다. 즉, 나중에 들어간 것이 맨 처음 나온다. 다시 말 하면 처음 들어간 것이 맨 뒤에 나오는 구조이다. 동굴을 떠올리면 스택 구조를 쉽게 상상할 수 있다.2. 이상 상태스택은 고정된 크기를 갖는 자료구조이다. 따라서 고정된 크기에서 벗어나는 액션을 취할 때 두 가지 이상 상태를 가질 수 있다.1. 오버플로우(Overflow): 자료구조가 수용 가능한 범위를 가득 채운 상태해서, 초과하여 삽입 연산을 수행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현상2. 언더플로우(Underflow): 자료구조에 데이터가 들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삭제 연산을 수행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현상* 예전에는 위 두 용어가..

홀짝에 따라 다른 값 반환하기: 홀짝 판별, 제곱, 합 구하기

[문제 요약]입력으로 주어진 1 이상 100 이하의 정수 n에 대하여,n이 홀수일 때, n 이하의 양의 정수 중 모든 홀수의 합을 구하고,n이 짝수일 때, n 이하의 양의 정수 중 모든 짝수의 제곱의 합을 구하는 문제 [풀이 과정]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래 세 가지를 코드로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1. 홀수/짝수를 판별할 수 있는 조건문위키백과에 따르면 짝수라는 것은 2의 배수 혹은 2로 나누어 떨어지는 정수를 의미한다. 이를 Python 문법을 이용하여 구해보자.Python에서는 % 라는 연산자를 이용하면 나눈 후 나머지 값을 구할 수 있다.예를 들어 7 % 3 라는 식을 작성한다면, 7을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1이므로 결과는 1이 나올 것이다. 따라서 n이 짝수 즉, 2로 나누어 떨어..

Daily/Coding Test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