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3

[백준][문자열] 99클럽 코테 스터디 8일차 TIL + 한국이 그리울 땐 서버에 접속하지

오늘의 학습 키워드문자열 오늘의 회고🌱 오늘의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9996N개의 문자열에 대해 패턴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문제이다. 일치하면 DA, 그렇지 않으면 NE를 출력한다. 판별할 문자열의 개수 N이 먼저 주어진다.다음으로 판별 기준이 될 패턴이 주어진다. 이 패턴에는 *이 하나 포함되어 있고, *자리에 빈칸을 포함한 특정 문자열이 들어갈 수 있다.이어서 N개의 판별할 문자열들이 주어진다.  🌱 나의 시도1. 입력 받은 문자열에 대해 *을 기준으로 앞(front)과 뒤(back)를 추출한다.2. 맨 앞의 문자열이 front와 일치하고, 맨 뒤의 문자열이 back과 일치하면 DA를 출력한다.3. 그 외 NE를 출력한다. 단, 주의할 점이 있다.이 문제에서..

Daily/Coding Test 2025.04.11

[백준][스택] 99클럽 코테 스터디 7일차 TIL + 쇠막대기

오늘의 학습 키워드스택, 문자열  오늘의 회고🌱 오늘의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0799오직 소괄호만을 이용하여 쇠 막대기와 레이저의 위치를 나타낸 입력이 주어진다. 입력의 길이는 최대 10만이다.  🌱 나의 시도이 문제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레이저가 한 번 등장할 때마다 현재 겹쳐져 있는 쇠 막대기의 개수만큼이 잘리게 된다는 것이다.조금 더 구체적으로 로직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현재 들어온 입력에 대해 쇠 막대기인지 레이저인지 판단한다.2. 만약 쇠 막대기라면 현재 쇠 막대기 개수를 1 증가시킨다.3. 만약 레이저라면 현재 저장되어 있는 쇠 막대기 개수만큼 정답 값에 더해준다.4. 위 과정을 반복한 후 최종적으로 몇 개의 쇠 막대기가 잘렸는지 판단해준..

Daily/Coding Test 2025.04.11

[응용] DFS와 2차원 배열 내 영역의 최대 개수 구하기

1. 개요DFS 알고리즘을 적용한 문제 유형으로 2차원 배열에 포함된 특정 영역의 최대 개수를 구하는 문제가 많이 출제된다.아래 두 문제를 풀어보며 이러한 문제 유형에 대해 이해하게 되어, 그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이 글에서는 내가 이해한 개념을 자세하게 풀어서 정리하고, 관련 문제의 코드도 함께 살펴 볼 예정이다.  단, 이 글은 DFS 알고리즘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설명을 진행한다.만약 DFS 알고리즘의 개념이나 원리를 잘 모른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기를 추천한다.https://developer-zoyh.tistory.com/17 [알고리즘] DFS(Depth-First Search)와 BFS(Breadth-First Search)0. IntroductionDFS와 BFS를 별도 게시..

[백준][DFS] 99클럽 코테 스터디 6일차 TIL + 섬의 개수

오늘의 학습 키워드DFS 오늘의 회고🌱 오늘의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4963배열의 크기(w, h)와 배열이 여러 번 반복하여 주어질 때, 그 배열에 포함된 섬의 개수를 세는 문제이다. [주의할 점]1.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시간 복잡도를 예측하기 어려움이 문제에서는 w, h의 입력이 0 0으로 주어질 때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너비와 높이인 w와 h가 50 이하의 정수이므로, 배열의 크기가 많이 크지는 않으나 테스트 케이스가 몇 개나 반복될 지 모른다는 점에서 시간 복잡도를 예측하기 어렵다.2. 상하좌우 + 대각선 이동 가능상하좌우 뿐만 아니라 대각선으로도 이동 가능하다. 출발점 기준으로 인접한 8개의 위치를 모두 고려해주어야 한다.  우선 간..

카테고리 없음 2025.04.10

[백준][투포인터] 99클럽 코테 스터디 5일차 TIL + 수열

오늘의 학습 키워드투포인터나는 투포인터라는 용어 자체를 처음 들어봤는데,투포인터로 푼다는 걸 딱 듣자마자 바로 풀리네? 넘 신기하다! 😚 오늘의 회고🌱 오늘의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2559백준 문제는 미리보기가 안 뜨나 보다. 어제도 안 떴는데.. 흠. 배열의 길이 n과 간격 k가 주어지고, 온도 값을 담은 배열이 이어서 주어진다.연속 k간의 온도의 합이 최대가 되는 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 나의 시도시도1.처음에 시도한 방법은 타임 아웃이 떴다.그 이유는 사실 명확하다. 아래 코드는 아주 간결하고 깔끔해보이지만 매우 비효율적인 코드이다.1. 우선 반복문을 통해 O(n)번 돌고 있다.2. 내부에서 sum(tem[i:i+k]) 함수는 O(n^2)으로 동작할 ..

Daily/Coding Test 2025.04.04

[백준][DFS] 99클럽 코테 스터디 4일차 TIL + 안전 영역 (+ RecursionError 핸들링 하기)

오늘의 학습 키워드DFS, 시뮬레이션 오늘의 회고🌱 오늘의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468(왜 미리보기가 안 불러와질까 🥹)2차원 배열이 주어지고 각각의 칸에는 지형의 높이 정보를 나타내는 자연수 값이 들어간다.이 문제에서는 장마철에 특정 높이 이상 비가 와 일부 지형이 물에 잠겼을 때, 물에 잠기지 않은 안전 영역의 최대 개수를 묻고 있다.여기서 안전 영역은 상하좌우로 인접해 있는 지점들이 최대를 이루는 영역을 말한다.  🌱 나의 시도최대 영역에 대한 개수를 세는 문제는 마침 어제 공부한 DFS 문제의 예시와 비슷했다.그래서 나는 이 문제를 재귀 함수를 이용한 DFS로 구현해보려고 한다.또한 이 문제에서는 장마철에 오는 강우량의 '높이'에 대해 명시하지 않으..

Daily/Coding Test 2025.04.04

[알고리즘] DFS(Depth-First Search)와 BFS(Breadth-First Search)

0. IntroductionDFS와 BFS를 별도 게시물로 정리하려고 했으나 결국 하나의 게시물로 정리하게 되었다.둘은 이름이 비슷해서인지 잘 헷갈리는 것 같다.같은 게시물 안에서 동일한 그래프로 비교하면서 보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단, BFS, DFS 문제풀이는 본 게시물에서 다루지 않는다. 앞으로 DFS, BFS 문제를 공부하면서 차근차근 하나씩 추가해보겠다. 1. DFS (Depth-First Search, 깊이 우선 탐색)1. 정의이름에서 알려주는 것처럼 깊이를 우선적으로, 즉, 가장 깊이 위치하는 노드까지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DFS 문제를 풀 때는 스택을 활용하면 더 쉽게 해결할 수 있다.이것은 예시를 보면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으니 예시를 함께 보면서 확인하도록 하자...

[프로그래머스][시뮬레이션] 99클럽 코테 스터디 3일차 TIL + 바탕화면 정리

오늘의 학습 키워드시뮬레이션 오늘의 회고🌱 오늘의 문제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61990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co.kr 컴퓨터 바탕화면을 좌표로 가정한다. 전체 파일을 모두 선택하기 위하여 왼쪽 위 지점부터 오른쪽 아래지점까지 드래그할 때, 최단 거리를 만들기 위한 시작점과 끝점을 찾는 문제이다.   🌱 나의 시도이 문제에 대해 내가 해결한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이중 반복문을 사용하므로 O(n^2)이다. 그러나 wallpaper의 길이가 최대 50, wallpaper의 내부 길이가 최대 50으로 최악..

Daily/Coding Test 2025.04.03

[백준] 99클럽 코테 스터디 2일차 TIL + 피보나치 비스무리한 수열

오늘의 학습 키워드메모이제이션, 시뮬레이션 오늘의 회고🌱 오늘의 문제피보나치 문제의 변형된 문제이다. 피보나치 문제가 특정 위치 n의 값에 대하여 n-1, n-2 연속된 두 값의 합으로 구해나갔다면, 이 문제는 n-1, n-3과 같이 한 칸을 띄운 두 값의 합으로 구하는 문제이다.이 외의 조건이 크게 달라지는 부분은 없어 기존의 피보나치 구하는 방식으로 구하면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 🌱 나의 시도입력 값의 최대값이 116으로 크지 않아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보다는 짧고 가독성 좋은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판단을 했다. 동일한 연산을 반복하지 않으므로 재귀 함수가 불필요하며, 이전 연산 값을 저장해두고 사용할 수 있는 메모이제이션 정도면 충분하다. 현재 단계적으로 문제를 풀기 때문에 시간 ..

Daily/Coding Test 2025.04.02

[자료구조] 그래프(Graph)와 탐색(Search)

🌱 그래프 그래프는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 자료 구조이다. 크게 노드와 엣지(간선)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래프는 간선으로 연결된 노드들 간 이동할 수 있는데, 이렇게 간선으로 연결된 노드들을 인접하다(Adjacent)고 한다.  🌱 그래프 표현 방법그래프에서 인접한 노드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크게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과 인접 리스트(adjacency list)가 있다.1. 인접 행렬인접 행렬은 단어 그대로 "행렬"의 형태로 인접한 노드 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행의 노드와 열의 노드 간의 거리를 행렬값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노드 조회를 할 때 시간 측면에서 O(1)로 아주 빠르다.그러나 이 방식은 메모리 측면에서 비효율성을 야기할 수 있기에 조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