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매 시점에 가장 좋은 선택지를 고르는 방식으로, 현재의 선택이 미래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알고리즘이다.
* 욕심쟁이 알고리즘 혹은 탐욕법이라고도 불린다.
필요 역량: 창의력 / 문제를 풀기 위한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는 능력
특이 사항: 문제에서 기준이 제시될 가능성이 높으며 정렬 알고리즘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주의 사항: 그리디 알고리즘을 적용한 해법이 정당한지 검토하는 과정 필요 (반례 탐색 등)
728x90
'All-round developer >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DFS(Depth-First Search)와 BFS(Breadth-First Search) (0) | 2025.04.03 |
---|---|
[자료구조] 그래프(Graph)와 탐색(Search) (0) | 2025.04.02 |
[자료구조] 스택(stack)과 큐(queue) (0) | 2025.04.01 |
[알고리즘] 구현(Implementation) (1) | 2025.03.25 |
[개념] 복잡도(Complexity) (0) | 2025.03.25 |